발작 증상이 일어나는 뇌전증이란?
뇌전증(간질)은 뇌 신경 세포가 일시적 이상 반응을 일으켜 과도하게 흥분된 상태를 유발함으로써 의식 소실, 발작, 행동 변화 등과 같은 뇌 기능의 일시적 마비 증상이 나타나는 뇌 질환을 말하는데 마비 증상은 만성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발작의 증상이 일어나는 이유로는 대뇌로 연결된 신경세포들이 미세한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데 이때 대뇌의 신경세포의 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방출이 될 때 발작을 일으키게 됩니다.
발작을 일으키는 뇌전증 원인
뇌전증(간질)의 원인은 임신 중의 영양 상태와 출산 시의 합병증, 두부 외상, 독성 물질, 뇌 감염증, 종양, 뇌졸중 그리고 뇌의 퇴행성 변화 등을 들 수 있지만 뇌전증(간질)의 정확한 발생 이유를 알 수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뇌전증(간질)은 출생 시에 발생할 수도 있고 출생 후에도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뇌전증 발작은 여러 가지 심각한 뇌 질환의 증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뇌전증(간질)의 원인이 된 질환이 더 문제가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연령에 따른 뇌전증(간질)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
영아기에 뇌전증(간질)을 유발하는 질환은 주산기의 뇌 손상과 선천성 기형을 들 수 있고 저칼륨증, 저혈당증, 대사성 질환, 뇌막염, 뇌염도 뇌전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이후 유아기에서는 열성경련, 영아기와 마찬가지로 주산기의 뇌 손상과 감염이 뇌전증(간질)을 유발하는 하게 되고 학동기에는 특발성, 주산기 뇌 손상, 외상, 감염으로 인하여 뇌전증(간질)을 유발하게 됩니다. 청장년기에 와서는 외상, 종양, 특발성, 감염, 뇌졸중으로 인하여 뇌전증(간질)이 유발되며 노년기에는 뇌졸중, 뇌 외상, 종양, 퇴행성 질환 등에 의하여 뇌전증(간질)이 나타납니다. 이와 같이 뇌전증(간질)은 연령에 따라 발생 원인이 달라지며 뇌전증(간질)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원인에 대한 정확한 검사가 중요합니다.
뇌전증(간질) 증상
뇌전증(간질)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운동성 경련 발작으로 다양한 양상으로 증상이 나타나게 되고 이것은 뇌의 영역과 위치에 따라 제각각 고유의 기능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팔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뇌의 영역에서 발작 증세가 나타나게 되면 한쪽 팔만 떨게 되는 정도의 증상만이 발생할 수 있고 측두엽 부분에서 뇌전증(간질) 증세가 나타나면, 멍해지면서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고 입맛을 다시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양쪽 뇌에 증상이 전체적으로 퍼지게 되면, 전신이 뻣뻣해지면서 거품을 무는 대발작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뇌전증(간질) 치료방법
뇌전증(간질)은 약물 치료법과 수술 치료법의 두 가지 방법으로 치료를 하게 되는데 약물 치료법이 우선 치료법이며 기본 치료가 됩니다.
뇌전증(간질) 환자 10명 중 7~8명은 약물 치료법으로 증세를 조절할 수 있고 약으로 조절이 되는 7~8명 중에서도 3~4명은 2~5년 정도의 약물 치료 후에 약을 끊게 되어도 경련이 재발되지 않습니다. 약물 치료로 조절이 되는 나머지 3~4명은 약을 끊었을 때 경련이 재발하게 되므로 오랜 기간 동안 항경련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약물 치료법으로 뇌전증(간질)이 완전하게 조절이 되지 않는 환자는 대략적으로 10명 중 3명 정도이고 이 들 중에서도 수술 치료법의 대상이 되는 환자는 뇌전증(간질) 수술을 하게 됩니다.
약물 치료법에는 항경련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뇌전증(간질) 발작의 종류와 뇌전증 증후군에 따라서 사용하게 되는 약물이 조금씩 차이가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초기의 약물 치료에서는 보통 한 가지의 항경련제로 시작을 하게 되고 이후 치료의 반응에 따라 적절량을 조절하여 복용하게 됩니다. 항경련제는 소량부터 복용하여 점차 복용을 늘리는 경우도 있으며 최대 용량까지 증량하여 복용하였음에도 만족스러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는 약물의 작용 기전이 다른 항경련제를 병용하거나 다른 항경련제로 바꾸어 치료하게 됩니다.
환자에게 적절한 항경련제는 뇌전증(간질)의 형태, 환자의 나이, 동반된 질환과 더불어 다른 항경련제와의 약물 상호작용, 현재 복용 중인 다른 약물과의 약물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게 되고 특히나 모든 항경련제는 부작용이 따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사전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부작용과 과민 반응이 발생할 때에는 바로 주치의에게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항경련제는 고전적 항경련제와 새로운 항경련제가 있습니다. 고전적 항경련제는 이전부터 많이 사용되어 오던 약물로 페니토인(딜란틴, 히단토인), 클로바잠(센틸), 발프로산(오르필, 데파킨, 데파코트), 페노바비탈(루미날, 페노바비탈), 클로나제팜(리보트릴), 카바마제핀(테그레톨) 등이 있습니다.
새로운 항경련제는 1990년대 이후 개발이 되었거나 상용화된 약물 중에는 기존의 항경련제와는 다른 성질을 갖는 것이 많습니다.
새로운 항경련제는 부작용이 적고 양물 상호작용 측면에서도 우수한 점이 있어 처음에는 주로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약물 치료법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점차 단일 치료법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항견련제에는 토피라메이트(토파맥스), 라모트리진(라믹탈), 비가바트린(사브릴), 옥스카바제핀(트리렙탈), 레비티라세탐(케프라), 조니사마이드(엑세그란), 프레가바린(리리카), 가바펜틴(뉴론틴), 라코사마이드(라코정), 페람파넬(파이콤파) 등이 있습니다.
수술 치료법은 약물로는 완전히 조절이 되지 않는 약물 난치성 뇌전증(간질)에 발작을 일으키게 되는 뇌 조직(간질 초점 부위)을 수술로 제거하는 치료법입니다.
뇌 조직 제거 수술은 50년 전부터 시행되어 왔고 수술 치료법의 대상 환자는 뇌전증(간질)이 약물로는 조절이 되지 않는 환자와 약물 요법을 통해 뇌전증(간질)이 조절은 되지만 평생 동안 약물을 복용해야 하고 수술 치료법으로 치료를 할 수 있을 때 시행하게 되고 약물 치료보다 수술 치료가 더 유리한 환자의 경우에도 시행하게 됩니다. 난치성 뇌전증(간질)은 아니지만 간질의 원인이 되는 뇌종양, 뇌혈관 기형 등이 있어 종양의 진행과 뇌혈관 기형에 의해 출혈의 위험성을 막기 위해서도 뇌전증(간질) 수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또한 드물게 나타나긴 하지만 약에 대하여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약물 치료가 더 이상 불가능한 환자 또한 수술 치료를 받게 됩니다.